중국이 지난해 석탄 화력 발전소 건설을 무더기로 허가했다. 전력난 우려를 해결하고 경기를 부영하기 위한
목적이다. 한반도와 인접한 동부 해안 지역에서도 석탄 발전소 건설 붐이 일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비정부 기구인 에너지-정정 대기 연구센터와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지난해 총 106gw 규모 석탄 발전 사업을 허가했다고 보도했다.
2015년 이후 최대 규모 사업 허가이다.
일반적으로 발전 용량이 2gw 이상이면 대형 석탄 발전소로 분류되는데 이런 대형 발전사업을 일주일에
두 곳 꼴로 허가를 내준 셈이다.
빠른 인-허가로 지난해 공사에 들어간 석탄 발전 사업 규모도 50gw 에 이른다.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 착공 용량을 다 합친 것보다 8배 크다. 플로라 샹파누아 GEM 애녈리스트는
전세계적으로 석탄 발전을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은 분명한 예외라고 비판했다.
신규 석탄발전 사업은 산업 중심지인 광동성, 장수성, 안휘성, 저장성등 동부 해안 지역에서 특히 활발하다.
이 가운데 장수성과 저장성은 서해를 사이에 두고 한반도와 마주 보고있다.
중국의 석탄 발전소에서 배출하는 미세먼지는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 대기를 악화시킨다.
중국의 이같은 움직임은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한 시진핑 주석 공약과 모순된다는 지적이다.
시진핑은 2021년 탄소 중립을 위해 석탄 소비량을 2026년부터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줄이겠다고
말한바 있다.
미국 경제전문 매체 CNBC는 시진핑 공약과 달리 중국 석탄 발전을 늘리고 있는 배경으로 전력난 우려를
꼽았다. 지난해 여름 폭염이 계속되면서 중국 전력에서 전력 소비가 급증하고 정전 사태가 이어졌다.
가뭄까지 겹쳐 수력 발전량도 줄었다. 이에 연료비가 싸고 유연하게 발전량을 조정할 수 있는
석탄 발전소가 대안이 된 것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석탄 발전소 건설을 경기부양 수단으로 쓰고 있다고 CREA와 GEM은 전했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새로 지은 석탄 발전소를 사용해야 한다는 압박이 청정 에너지 보급 속도를 늦추는게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중국 정부를 향해 늘어난 전력 수요를 감당하면서도
석탄 발전의 급증을 막기 위해 청정 발전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라고 촉구했다.
'중국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우크라이나 전쟁 중재 역할, 중국식 국제 질서 재편 시동 (0) | 2023.03.14 |
---|---|
중국, 반도체 굴기 재정비 (0) | 2023.03.14 |
중국, 베이비 붐 세대 재취업 문제 (0) | 2023.02.27 |
중국 WTO 가입 20년이 넘었는데..여전히 비시장적 경제 여건 (0) | 2023.02.27 |
중국, 미국은 우크라이나 이용해 주변국 군비 경쟁 강화 (1) | 2023.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