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뉴스

중국, 우크라이나 전쟁 중재 역할, 중국식 국제 질서 재편 시동

by 칸차이나 2023. 3. 14.
반응형
SMALL

중국 국가 주석직 3연임을 확정하며 세번째 임기를 공식적으로 시작한 시진핑 주석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와

연속 회담에 나서는 등 본격적인 외교 행보에 나설 전망이다. 당에 이어 행정부까지 1인 체제를 완성한 뒤 바깥으로

눈을 돌려 미국 주도의 국제 질서와는 구별되는 중국 나름의 질서 구축을 시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세계를 긴장시킨 뒤 시 주석의 깜짝 외교 행보가 전해진 것은 13일이었다. 로이터 통신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시 주석이 이르면 다음주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을 만나 회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은 잠시뒤 이 사안에 대해 잘 아는 인사를 인용해 시 주석이 다음주 푸틴 대통령과 회담후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화상 회담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장기화 된 우크라이나 전쟁의 평화협상을 중재하는데 중국이 적극적으로 나선 모습이다.

 

지난해 2월 전쟁이 시작된 후 우크라이나를 적극 지원해 온 서구와 달리 중국은 한발 떨어져 관망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시 주석은 지난해 11월 초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회담했을때 핵무기를 사용하거나 위협해서는 안된다는

원칙에만 협의했을 뿐 평화 협상을 위해 적극나서는 모습은 아니였다.

 

중국이 의미있는 한발을 내디딘 것은 전쟁 1주년이 되는 지난달 24일이었다.

중국은 이날 우크라이나 위기의 정치적 해결에 관한 중국의 입장이라는 문건을 통해 주권 존중, 전쟁중단,

평화협상 개시, 일방적 제재 중단등 12가지 항목을 제안했다.

미국과 북대서양 조약기구 나토등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대화에

나설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중국 외교부는 고무된 듯 계속 건설적인 역할을 할 용이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은 10일에도 평화 중재자로서 실력을 보여줬다. 시 주석은 3연임이 확정된 후 이날 중동의 두 앙숙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을 북경으로 불러들여 2016년 이후 중단된 외교 관계를 복원한다는 협의안을 중재해냈다.

중국의 외교 사령탑인 왕이 공산당 중앙 정치국 위원이 악수를 나누는 사우디 국가 안보 보좌관과 이란 국가 안보회의

의장의 가운데서 특유의 미소를 지었다.

 

왕위원은 합의후 우리는 모든 국가의 바람에 따라 세계의 분쟁 문제에서 건설적인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주요국으로서 책임감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이 합의는 중국이 역내에서 더 큰 역할을 맡을 준비가 됐다는 신호라며 중국에서 미국의 우위에 도전한 것

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연속된 외교 행보가 비상한 주목을 끄는 것은 미국등이 해법을 찾지 못한 세계의 주요 갈등을 푸는데

중국이 인상적인 돌파구를 만들어 냈기 때문이다. 

특히 사우디와 이란의 갈등이 방치된 결과 예멘 내전이 9년째 접어드는 등 중동 정세가 크게 불안해졌다.

하지만 미국과 이란의 관계는 도날드 트럼프 행정부가 2018년 일방적으로 파기한 이란 핵협정으로 엉망이 됐고

미국과 사우디의 에너지 동맹 역시 2018년 10월 저명 언론인 살해와 지난해 원유증산을 둘러싼 갈등으로

서먹해진 상태이다.

 

미국의 외교가 작동을 멈춘 곳에서 중국이 큰 성과를 낸 것이다.

시주석에게 더 큰 도전은 우크라이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등은 우크라이나에 막대한 군사 원조를 쏟아부으며

러시아의 굴복을 기다리는 중이다. 하지만 핵을 가진 대국인 러시아가 회복할 수 없는 국익의 손실을 감수해가며

패전을 받아들일 가능성은 높지않다.

그로인해 전쟁의 장기화가 불가피해진 상황에서 시 주석이 합리적 타협안을 도출해내며 평화 중재자로서

중국의 위상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이 높아지게 된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중국의 최근 외교 공세는 군사력을 사용해 다른나라의 결정에 영행을 끼치는 미국식 

국제관계 모델을 상업적 관계를 통해 대체할 수 있다는 시 주석과 중국 공산당의 혁신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시 주석도 12일 전인대 폐막식 연설에서 세계와 공동개발을 촉진할 것이라며 다자주의 실천, 글로벌 거버넌스

시스템 개혁, 개방형 세계 경제 건설 촉진등을 주장했다.

미국을 거론하지 않았지만 미국 중심의 1강 체제를 뛰어넘어 중국이 세계 질서 형성에 큰 혁할을 하는 다극체제를

만들기 위한 외교 활동에 힘을 기울일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바이든은 묘한 반응을 보였다. 바이든은 13일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뒤 연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과 곧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했다.

백악관 보좌관도 중국 새 지도부가 정비되면 바이든과 시주석이 미래 어느 시점에 대화를 나눌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겨례 신문 참고-

728x90
반응형
LIST

댓글